이미지 화질 낮추면서나 webp라면 괜찮은데 그게 아니라면 전용 이미지 줄이는 프로그램이 좋다 생각합니다
외국 프로그램도 몇 종류 써보긴 했는데 저는 국산 ipress압축 프로그램 사용중입니다
참고로 x3200 200페이지 압축시간이 4시간 이상 걸립니다 오래걸리는건 7시간 정도?
확인은 했는데 도통 모르겠습니다... 처음 압축할때는 이미지 화질이 떨어지는건 100%로 해도 맞는 이야기...
zop에 비하면 압축 속도도 너무 빠르다보니 수상하구...
웹에는 오랫동안 보존에 관련해서는 정보를 제가 못찾겠구 그래도 png인데 jpg나 webp에 비하면 나을듯 싶은데...
예전에 비하면 압축에러도 줄어서 쓸까했는데 오늘자료도 우선 님의 댓글 믿고 zop으로 압축했습니다
시대가 변해가다보니 뭐가 좋고 나쁘고 이상하다를 확실하게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것 보다는 원래 했던거
써먹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작년 자료인데 이미지정보 확인하면 이해하시는데 zop으로 압축했습니다
그리고 이미지 손상되는거 싫어서 왠만하면 원본
검색하다 이 글 봤는데 음...
pngqunat 보니까 손실압축 쪽인데 wepb로 받은 파일이면 굳이 변환할 필요 없고 더 효율적인 webp, avif 손실압축을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천년만년 손실 없이 쓰고 싶다고 하셨는데 그냥 손실압축된 파일을 zip로 압축해서 보관 또는 전송하면 브라우저 재압축, 전송 중 손실 등 방지할 수 있습니다
용량이 문제라면 이미지 보정할 때 레벨이나 화이트 밸런스 등 온갖 후보정 통해 작업하고 손실압축하시면 크게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익헨에서 올라온 이미지들은 스캔본이거나 레벨이나 후보정 작업을 하지 않은 것들이 대부분이기떄문에 그것만 해도 크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별도로 저는 상용프로그램 쓰지않고 파이썬으로 직접 따서 쓰는 편입니다
상용 프로그램(꿀뷰, 반디뷰)의 변환속도가 마음에 안들어 CPU 100% 풀가동하게끔 논리 프로세서 수만큼 프로세스 수로 쓰고
인터넷쓰거나 게임할 떄는 프로세스 줄여서 쓰는데 상용 프로그램이면 2~3분에 끝날 일을 파이썬으로 쓰면 10초 안에 끝납니다.
수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가 독자적으로 개발해서 쓰는 상용프로그램보다 몇배로 더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순서대로 처음 압축할때 손실은 알고 있습니다 보관용으로 zip은 간과했네요 다만 으음...
이 글에 대해서는 더워서 저도 이거저것에 대해 알아보고 힘들기도 하고 귀찮아져서 '힘든 세상 대충 살자'의 인생 목표대로 댓에 적은대로 유지를 선택했지만
위에서 언급드렸는데 [어떤분이 궁금]-->png로 갖고 싶다는 질문에 정확한 사연은 냅두고 글을 작성했습니다
HDD를 외장으로 쓰는게 좋은데 webp나 avif는... 하드 읽는 소리가 '드르륵'이라서
요새 에러가 줄어든 pngquant를 추천드린거였습니다 제가 특정적인 부분을 이야기하고 요령 좋게 글을 작성했어야 했는데
간단하게 대충작성한다고 이렇게 되었네요
그리고 후보정은 후음 글쓴이님이 링크 삭제하라해서...삭제했는데 작년에 노모작업했던거 중에도 후보정은 해본게 조금 있습니다(님 댓글도 O)
저의 선택인데...너무 심한거 아니고는 원본작업하고 원본상태로 냅둬요
글은 이런 복잡한 이유로 삭제하는게 좋을까 생각하는데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