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41개
koouo
05.20
개추콘
kumarin
05.20
Translation\Texture 방식이 더 빠르게 처리되고 좋긴 합니다.
다만 텍스처가 크면(예. 타이틀 화면) 처리를 안 하는 것 같습니다.
이 방식에 사용되는 sha256 은 "텍스처 이름 [텍스처이름을sha256으로 만든 것 - 이미지내용을sha256으로 만든 것].png" 의 형태인데, 텍스터이름을sha256으로 만드는 것은 다른 툴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편하기도 합니다. 본문의 "button_coodinateBack [DC914B28B9-].png" 를 예로들면 "DC914B28B9"는 이름으로 만들어 진 것이고, "-"뒤에 아무것도 안 적었기 때문에 이미지 내용으로 sha256 만든 것은 사용 안 하는 것 입니다. 알고 계시 듯이 이름이 중복되면 이 뒷부분 sha256을 사용해야 합니다.
tlaqnd91
05.21
근데 이미지 덤프를 뜨려면 결국 게임을 다 플레이 해야하는거 아님? 유니티에셋슈트디오로 이미지를 아예 파일로부터 추출하는식으로는 저 플러그인 쓸 방법이 없는거?
tlaqnd91
05.21(05.21)
이거 질문하는 이유가 전에 다른 겜에서 이미지 번역 해보려 했는데 유니티 에셋 슈트디오로 따서 저 플러그인에 넣어보니까 도저히 작동을 안하더라고요. 그래서 쿠마린님 글 찾아서 읽어봤는데 무조건 플레이해서 직접 덤프를 뜨고 뒤에 코드가 나와야 작동하는걸로 이해를 해서 포기해서 질문해봄
미스터장
05.21
이미지 추출은 uabea나 애셋스튜디오로 texture2D만 싸그리 뽑아서 확인하면 됨.
TextureReplacer 플러그인 쓰면 파일명이 중복되는거 아닌이상 딱히 파일명 뒷부분에 코드 적을 필요가 없으니까.
저거 덤핑 하는거는 파일명 중복인애들 코드 찾는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