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입력이 막혀있어서 확인해보니
사이트 개발자가
'.overflow-auto.max-w-full.flex-grow.p-1 input:nth-of-type(1)'를
overflow-auto max-w-full max-h-full grow p-1 로 수정하면서 검색이 안돼서 입력이 안된 것이므로
'div[data-slot="dialog-content"] input[data-slot="input"]:nth-of-type(1)',
'div[data-slot="dialog-footer"] > button[type="button"]:nth-of-type(1)',
'td[data-slot="table-cell"] div.action-button > button[data-slot="button"]'
수정돼도 확실히 잡을 수 있도록 수정했습니다.
이게 next.js 커스텀 React인 SPA/SSA 혼합 패턴이라
정적SSA 또는 일반SPA과 달라서 body나 섀도돔 이렇게 넣어도 꺠지는 경우가 있어서
오버레이가 문제인거 같은데 딜레이 주면서 테스트중인데 정상적인 진행에는 오류안떠서
그 오류가 뜨는 조건이 아마 시간 오래지났거나, 너무 빨리 정보 받아서 바로 실행했거나, 옵저버 감시 껏다가 시작하면서 렌더링 도중에 바로시작했거나 이건데
일단 오버레이를 디바운스 함수에 넣어보고 안정됐는지 테스트 중임
코네 사이트 자체 문제(유저 페이지)로 DOM가 꺠지면서 root 또는 main 블록을 재생성, 재렌더링해서 복호화, 오버레이가 안되는 증상이였음
기존 root, main블록(사실상 없는 객체)만을 이용하여 초기 페이지에 삽입했지만 그 뒤에 재렌더링으로 다시 덮어씌우면서 없어지고
본문 위에 미리보기가 멀쩡히 생성되는 이유는 그 블록을 관리하지 않아서 피할 수 있었던 것이기도 함
스크립트 문제가 아니라 사이트 문제인데 그걸 우회하려고
외부 옵저버와 내부 옵저버로 따로 분리해서 재생성된 root블록만을 감지하는 외부 옵저버로 해결했음
참고로 원본에선 body 전체블록 감시하고
개조판은 main블록, body블록 자식노드 감시하고 껏다키는 기능을 추가했는데
이렇게 복잡하게 안하고 body만 해도 되지만 그러면 감시영역이 늘어날수록 CPU를 잡아먹는 영역이 많이 생김
옵저버와 DOM를 효율적으로 짠 이유가 코네 탭을 많이 열면 열수록 CPU에서 갑자기 치솟는 증상이 생김
그거 코드 복사해서 댓글에 붙여놓고 새로고침하면 됩니다
댓글도 자동 디코딩돼요
저 내부소스를 읽어보면
<strong>aHR0cHM6Ly9raW8uYWMvYy9hNWJ<span style="color: rgb(77, 166, 255">2d3Y3NWdaTVFiWHVXVDQxekti</span></strong>
<span> 떄문에 두 개의 노드로 나눠져서 그런건데
쉽게 말하자면 저 색깔 넣으면서 노란색깔, 파란색깔로 글자가 나눠져서 인식 못하는거에요
근데 저거까지 고려해서 짜려면 그 뒤의 문자열까지 합쳐서 해야되는데
base64문자열 + 일반문자열까지 합쳐지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기떄문에 예외의 상황으로 보셔야돼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