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시)
Regex.txt <- 정규식 내용 모음
RichText.txt <- 리치 텍스트가 많은 게임의 경우 분리해 두면 수정하시기 좋습니다.
Menu.txt <- 메뉴의 번역 내용 등을 모아둡니다.
Level1~9.txt <- 챕터가 1~9가 있고 그 내용이 많은 경우 나눠서 저장합니다. 캐릭터의 경우 그 캐릭터의 이름으로 저장하셔도 됩니다.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서 그러는데 OutputFile=Translation\{Lang}\Text\_AutoGeneratedTranslations.txt 얘를 어떻게 분리 시켜서 작성할 수 있는거야?
자동으로 OutputFile파을은 최하위가 결과가 됩니다.
Substitutions를 우선해서 읽고
기외 txt파일에서 번역값을 읽어옵니다.
그후 전처리를 읽고 번역기로 넘긴 후
후처리를 한 후 최종적으로 아웃풋에 기록됩니다.
즉
1. Substitutions 로그
2. 전처리, 후처리, 아웃풋 외의 모든 텍스트 파일에서 번역 기록 로드
3. 2에서 없는 부분을 전처리 -> 번역기 ->후처리 -> 아웃풋 의 단계로 번역을 합니다.
즉 1, 2 ,3 4, 에 쓰신 예시 txt파일의 이름을 다릏게 바꿔도 됩니다.
그냥 예시를 들려고 임의로 제가 정한 값이지만
1.txt 혹은 Mission1.txt나 캐릭터명.txt 예를 들어 캐릭터 명이 Cyrustal이라면 Crystal.txt나 Crystal_Text.txt 뭐 이런 식으로 구분해 두시면 좋다는 겁니다.
구분해 두면 좋다는 이유는 길 볼륨의 게임의 경우 단어나 대화체(어투) 등을 수정해야 할 경우 용이합니다.
구분하면 수천라인~1만 라인이 넘는 게임의 경우는 수정이 편합니다.
메뉴나 라치 텍스트 부분도 나눠 놓으시라는 것도 그런 게임의 경우는 1챕터가 수천 라인인 경우도 있어서
차 후 수정할 때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막상 작업해두고 1메가 내외의 용량을 수정하려면 Ctrl+F로 비교해 가며 그냥 찾는 것 보다는
챕터별, 메뉴, 캐릭터가 많은 경우 캐릭터 이름, 특정 대화 분기(채팅 혹은 선택지), 아이템이 많을 경우 아이템의 이름과 아이템의 설명 등으로 나눠두면 차후에 원하는 부분만 수정하기가 용이합니다.